Page 79 - 대건고 2022 교지
P. 79
시 한번 상기하게 되었다. 이후 학생들은 새로운 정보를 인식했을 때 그것을 무조건 수용하기
보다는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주체적으로 정보에 대한 탐색, 교차검증 등을 진행해 그것이 믿을
만한 정보인지 판단해야 한다고 배웠다. 그 후 조별로 ‘미디어의 장점 활용’이라는 주제로 ‘챌
린지’를 구성해보는 활동을 했다. ‘챌린지’는 선한 영향력을 위해 특정 행동을 하는 영상, 인증
을 SNS에 올린 후 다른 사람을 지목해 그 공익이 퍼져나가길 바라는 행위들을 말하는데, 미디
어와 관련하여 제안할 만한 챌린지를 만들어보자는 것이었다. 나는 교지편집부 부장으로서 학
생들이 교지를 좀 더 많이 읽고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정보를 탐색해갔으면 하는 생각이 있었는
데, 이런 생각을 반영해 교지 기사를 공유하는 ‘교지 읽기 챌린지’를 구성해보기도 했다. 이 프
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사회적인 이슈를 다룰 때도 적극적으로 적용해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디어 리터러시 게임
두 번째 진행한 프로그램인 ‘미디어 리터러시 게임’은 주로 통계를 이용해 잘못된 정보를 마
치 사실인 것처럼 포장한 가짜 뉴스들의 사례를 파악하고, 이런 가짜 뉴스들에 속지 않기 위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둔 구성이었다. 프로그램은 이름처럼 게임을 통해 진행되었
다. 학생들은 4~5개의 조를 이루어 한 조에 한 개씩의 명제와 그 명제를 뒷받침하는 통계 자료
를 받았다. 그 통계 자료들은 모두 검증된 자료들이다. 그러나 그 명제는 거짓일 수도, 진실일
수도 있다. 교묘한 통계의 거짓말들이 명제가 진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진실인 것처럼
포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각 조는 자신들의 명제가 거짓인지 진실인지 판단하고, 자신이 받
은 명제가 진실인 것처럼 발표한다. 그 후 나머지 학생들이 가장 진실 같은 발표에 투표하여 가
장 많은 득표를 얻은 조가 승리하는 게임이었다. 우리 조가 받은 명제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
후 해외이주자가 급격히 늘었고, 그 이유는 소득주도성장의 부진과 경제적 불안 때문이다’였
다. 그리고 이 명제를 뒷받침하는 통계 자료 또한 보았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해외이
주자의 수가 늘어났다. 그 통계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우리 조는 검색을 통해 이 명제가 거짓이
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바로 2017년 12월에 이루어진 해외이주법 개정이었다. 법 개
정으로 인해 해외이주자의 구분이 달라져 해외이주 신고자가 한꺼번에 늘어났다. 이에 따라 실
제로 외국으로 이주한 사람은 별로 없음에도 해외이주자가 급증한 것처럼 보이는 착시가 일어
난 것이다. 다른 조의 명제도 마찬가지였다. 통계를 이용해 명제가 진실인 것처럼 포장했지만,
본질적으로 파고들어 보면 교묘한 거짓이나 속임수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수행
하며 자연스럽게 정보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었고, 주체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검증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었다.
2022 Daegun High School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