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 대건고 2022 교지
P. 83

교육과정 수기                                                           |   교사 수기   |
                교육과정 수기




                아이들의 눈과 마음으로 본 세상 사는 이야기(3! 4! 2!)



                                                                                  교사 안종민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사회 문제 탐구’를 가르치게 되면서 설렘이 마음
               의 반이라면 나머지 반은 두려움으로 3월을 맞이하였다. 오랜 시간 일반 선택 과목에 해당하는
               과목만 지도하다가 새로운 교과를 맡게 되면서 수업과 평가 계획서 작성부터 수업 자료들까지
               참고할 만한 정보가 부족하여 아무래도 부담감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았다. 교과서
               의 목차를 보고 수업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 며칠 고민 끝에 교과서의 비중을 최대한
               줄이고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최대로 늘여보기로 하였다. 수행평가로 정한 ‘문제 해결 다이어
               리’와 ‘ 파워 인터뷰’그리고 ‘학교 내 문제 해결을 위한 방송 영상 제작‘이라는 3가지 주요 활

               동을 기본으로 한 학기 수업을 진행하는 계획을 확정하고 아이들과 일정을 공유하며 수업을 시
               작했다.



                 코로나19가 조금씩 정점을 지나는 3월 3주차부터 문제 해결 다이어리 활동을 본격적으로 했
               다. 문제 해결 다이어리는 매주 접하는 사회 문제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 친구들과 토론 및 발
               표를 거친 뒤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간단하게 정리하는 활동이다.
               교과서에 제시된 사회 문제는 물론 교과서 밖에 시사적인 이슈들도 사사 교양 프로그램, 뉴스
               영상 등을 시청하였다. 저출산과 고령화, 학교 폭력, 게임 중독, 사회적 소수자와 차별 문제 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사회 문제 5개와 촉법소년 연령 조정, 사형제도 존폐 문제, 학교 내 핸드폰

               규정문제, 환경 문제와 지구 온난화 문제, 빈곤 문제 등 교과서 밖의 사회 문제 5개를 더해 총
               10개의 사회 문제를 문제 해결 다이어리 활동을 통해 다루어 보았다. 사회 문제를 고민해 보고
               자기 생각을 표현해 보는 다이어리 작성 과정에서 학생들의 진지함과 나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가 왜 중요한지를 스스로 체감하는 모습을 엿 볼 수 있었다.


                 1회 고사를 시행하지 않는 과목이라 1회 고사 전후로 두 번째 수행평가인 ‘파워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회 문제와 관련된 인물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고 연구 대상자와 대화를 통해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고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아이들은 저마다 어떤 사회 문제를
               정하고 누구를 대상으로 해야 할지 고민하는 모습이 사뭇 진지하면서도 어려워하는 느낌이었

               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대상자를 선정한 뒤에는 사전 질문지를 작성하였고 선생님과 1대1로



                                                                         2022  Daegun  High  School  83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