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8 - 대건고 2022 교지
P. 88
연관 지어 예를 들어 설명해 주었습니다. 또한 수행평가는 사용자와 관리자 입장에서 고민하고
설계할 수 있는 스토리보드 작성으로 결정하여 진행했습니다. 참 많이 고민하고 직접 교육 자
료를 대학 교재를 보면서 정제하여 만들고 실무 자료를 만들어 실습했던 그런 과목이었습니다.
정말 저에게는 애증의 과목이 아닐 수 없네요. 그게 통한 것일까요? 올해 졸업생 한 명이 찾아
와서 ‘선생님 저 교수님 분 한 분이 카카오 출신이신데, 제 생활기록부에서 스토리보드 내용이
들어있어서 인상 깊었다고 하시더라’는 이야기를 전해주었습니다. 정말 고민이 많은 수업이었
던지라 그 말은 저에게 너무 감사하고, 아 내가 고생한 보람이 있구나. 대학에서는 이런 경험들
을 알아봐 주는구나라는 뿌듯함이 밀려왔습니다.
저는 사실 온라인 교육회사에서 10년 이상 온라인 교육회사에서 홈페이지 기획, 운영 업무를
하던 사람이라 제 장점을 녹이고, 학생들에게 실무를 경험하게 하는 수업을 할 수 있었던 것 같
습니다. 저는 사실 온라인 교육회사에서 10년 이상 교육 콘텐츠와 홈페이지 기획, 운영 업무를
하던 사람이라 이 수업에 나만의 강점을 녹이고, 학생들에게 실무를 경험하게 하는 수업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과목이 신설되면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과목은 사라졌지만
저에게는 정말 오래도록 남은 수업이 될 것 같네요.
PART 2. 배운 건 무조건 써먹어라! 프로젝트 수업
컴퓨터, 로봇 관련 다양한 교과목들을 가르치고 있는 사람으로서 가장 학생들에게 강조하고
싶은 것은 바로, 배웠으면 써먹고, 만들 거면 쓸 데 있는 걸 만들어라 입니다. 아니, 우리가 뭐
쓸데없는걸 언제 만들었다고... 라고 욱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전 정말 우리
대건 학생들의 컴퓨터 실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너무 멋진 기술을 구현하려고 욕
심을 부리다 보니 막상 결과물이 쓸데없는 경우가 많지요. 공학 일반,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프
로그래밍, 정보과학, 로봇 소프트웨어 등 제가 수업한 많은 과목은 공학 문제를 다루고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래서 기술을 배우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
성되어 있는데요, 배우는 데 집중하다 보면 개별적인 활동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가능한 이론과 기능 전달은 빠르게 마무리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시간을 3주가량 주고, 프로
젝트 결과물로 학생을 평가하거나 생활기록부에 기재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진도 나
갈 때에서 개별적으로 생각해보거나 실습해야 하는 것들은 차곡차곡 구글 클래스룸으로 제출
받아 활용하지요.
88 2022 63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