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대건고 2022 교지
P. 84

질문지 문항 교정을 받은 뒤 연구 대상자와 면접을 실시하고 그것을 기록하여 제출하였다. 게
            임 중독에 빠진 친구, 과다한 업무 때문에 힘든 직장인, 휴대폰에 과다 노출된 친구, 학생 지도
            담당 교사 등 주변에서 마주하는 인물을 선정하여 나름대로 심도 있는 인터뷰를 직접 경험해 보
            고 관련된 문제 당사자의 마음을 이해해 보았다. 이 수행평가 과정을 지도하면서 학생들이 사
            회 문제의 당사자가 ‘인간’이라는 것을 강조하였고, 사회 문제 속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가 인간
            성의 회복이라는 것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약 2주간에 걸쳐 ‘학교 내 문제 해결을 위한 방송 영상 제작’프로젝트
            를 진행하였다. 수행평가는 아니지만 학생들의 협업을 통해 학습의 산출물을 제작하고 현실에
            적용 가능하도록 실천하는 일종의 사회 참여 방식의 프로젝트를 도전해 본 것이다. 3인 1개 조
            로 5개 모둠을 구성하고 각 모둠 안에서 대본 작성 작가, 카메라 기자, 앵커로 역할을 분담하고
            모둠별로 학교 내 문제가 무엇이 있는지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등굣길 교통사고 위험 문제,
            화장실 환경 문제, 교사에 대해 무례한 언행을 하는 학생 문제, 복도 사물함의 불편함 등 모둠
            별로 주제를 선정하고 대본을 작성하여 모의 연습을 몇 차례 실시하였다. 이후 각 현장에 직접
            가서 휴대폰을 이용하여 영상을 찍고 기자의 멘트를 추가하여 편집한 뒤 방송 영상을 완성하였
            다.등굣길 교통사고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지대가 만들어지고 지저분한 화장실 문제가 학

            교에서 공론화되는 과정이 일어나면서 아이들은 자신들이 생각해 낸 학교 내 문제들이 제도적
            인 절차에 따라 해결되는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하였고, 장시간에 걸친 코로나19에도 불구
            하고 협동 학습을 실천해 볼 수 있어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였다고 생각한다.


              어느덧 한 학기가 끝나가는 7월 초에 지필고사인 2회 고사를 마치고 수업을 종료하게 되었
            다. 집중 이수 과목이라 한 학기 동안에 교과를 마치게 되어 학생들과도 작별하게 된 것이다. 수
            업 소감문도 작성하도록 하여 한 학기 동안 자신의 수업 참여와 평가에 있어 스스로 돌아볼 수

            있었고, 교사에게는 다음 학기를 준비하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고교학점제의 시행이 다가오고 있다. 기존의 교과서 지식만으로는 변화되는 이 세상의 모든
            일 들을 설명할 수도 없고 해결할 수도 없다. 지식을 주입하기보다는 지식을 찾아 활용할 수 있
            도록 하고 ‘나’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공동체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향하도록 하


            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면 과제일 것이다. 한 학기 동안 ‘사회 문제 탐구’과목을 신청하고 열
            심히 해준 15명의 인천대건고 2학년 학생들에게 수고했다는 말로 체험 수기를 마치고자 한다.












            84  2022               63號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