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5 - 대건고 2022 교지
P. 115

교과 교실제



                                                                                 1학년 정지빈


                 우리 대건고는 보통의 여러 고등학교와는 다른 점들이 아주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유소년 축

               구부가 있거나 다른 학교에 사용하지 않는 교고 학점제를 선도적으로 사용한다. 사립 학교이기
               에 선생님들께서 다른 학교로 가시는 일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한다.


                 내가 이 학교에 와서 가장 특이하다고 생각한 것은 바로 교과 교실제이다. 교과 교실제는 흔
               히 우리가 대학교를 갔을 때 사용하는 이동방식이다. 교과 교실제(敎科敎室制)는 과목별로 전
               용 교실을 두고 학생들이 수업 시간표에 따라 교과별로 특성화된 교실로 이동하여 수업을 듣는
               교육 방식이다. 대표적인 미국을 비롯한 서양 학교의 방식과 비슷하며,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

               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전까지 한 교실에 담당 과목 교사가 들어와 수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2007년부터 몇몇 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교과 교실제를 실시하였다. 정부에서 교과 교실제를 계
               속 운영하려는 궁극적인 이유는 학점제 학교를 운영하기 위함이다. 학점제 학교란 대학교에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교양 필수, 교양 선택으로 세분화하여 학점을 관리하는 것처럼 중고등학
               교에서도 필수와 선택 과목을 나누어 학생들이 자기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
               록 하자는 것이다.



                 학점제 학교를 운영하는 목적은 모든 학생이 성공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함이다. 학점
               제 학교는 보수와 진보 진영을 넘어 의미 있는 학교혁신의 대안으로 여기고 있다. 학점제 학교
               는 학습 수준과 진로 방향이 다른 다양한 학생들이 한 학교 안에서 행복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 학교가 교과 교실제를 하며 느낀 점은 교과 교실제로 인해 2,3학년들은 같은 반이어도
               듣는 과목이 다 다르기 때문에 교과 교실제가 좀 더 효율적인데 1학년들은 같은 반끼리 다 같은

               과목을 듣기 때문에, 1학년이 교과 교실제가 필요하겠냐는 생각이 든다. 교과 교실제로 학생들
               이 선택할 수 있는 과목에 폭이 넓어지고, 많은 기회가 제공되지만 매시간 이동수업을 하는 것
               이 조금은 힘들다.








                                                                       2022  Daegun  High  School  115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