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8 - 대건고 2022 교지
P. 118

21세기의 핵심 분야 생명공학



                                                                              1학년 이정빈

              21세기가 되면서 세상의 트렌드는 바뀌고 점점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늘어나고 있다. 늘어나
            는 평균 수명 속에서 사람들은 이제는 자신들의 좀 더 행복하기 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속
            에서 사람들은 아프지 않고 얼굴이 점점 예전보다 주름이 많아지는 것에 슬퍼한다. 그런 부분
            에서 생명공학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생명공학은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현상의 연구를 해 얻어진 과학적인

            발견에 공학적인 시스템 및 응용원리를 접목하는 학문으로, 각종 질병 치료제 개발은 물론 생
            리활성물질, 화장품, 식품 및 의료와 환경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생명공학은
            인류의 건강과 복지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분야로서 차세대 국가
            성장 동력산업을 이끌어갈 첨단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생명공학의 종류에는 생물자원탐색 기술 - 미생물, 바이러스, 동식물 세포배양기술 - 동식
            물 세포, 효소 공학기술 - 효소, 유전체 기술 - 유전공학, 당류기 함유 핵산, 단백질 체기술 -
            펩티드, 고정화 펩티드, 하이브리드, 펩티드, 항체이용 기술 - 면역 글로불린, 생물공정 기술 -
            효소 미생물 관련 장치, 동식물 세포 배양 장치, 생물학적 합성, 분리정제, 측정진단 기술 - 측
            정시험, 조사분석, 생물 의약 개발 기술 - 신약 후보 물질, 단백질 치료제, 치료용 항체, 유전자
            치료, 방사선 의약, 생물 농약 개발 기술 - 생물 농약, 형질 농약 개발 기술 - 신규한 식물, 발
            효 식품 개발 기술 - 알코올 발효 및 장치, 환경 생물 공학 기술 - 슬러지 처리 기술등이 있다.
              그중 내가 관심 있어 하는 기술은 줄기세포 분야이다. 줄기세포란 배아 또는 성체에 있는, 여
            러 종류의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 세포다. 내가 이 기술에 관심 있어 하는 이유는 내가
            생각하는 가치관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내가 바라는 인간의 삶은 살아 있는 동안 최소한으로
            노화를 늦추어 면역력을 낮추는 것을 막고 병을 들게 하는 것을 막기를 원한다. 인간은 성장만
            하고 그 뒤 늙어가며 어쩔 수 없이 아파가는 것을 막고 싶다고 생각했다.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
            해 노화 방지가 되는 기술을 만들고 싶다.
              실제로 줄기세포 연구는 1957년 골수 이식 성공을 계기로 하여 1998년 미국 위스콘신대
            Thomson팀이 배아줄기세포를 확립하면서 시작되었고, 배아줄기세포의 윤리적 문제를 뛰어넘
            을 수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를 사용하지 않

            고 상피와 같은 성체 세포로 만든 줄기세포로 2006년
            일본 쿄토대 야마나카 교수가 성공하여 2012년 노벨
            의학상을 수상 한 바가 있다.
              실제로 내가 생각한 것과 줄기세포 사례들도 많이
            있다. 이런 것을 보니까 확실히 내가 생각한 줄기세
            포 기술들도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118  2022               63號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