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대건고 2022 교지
P. 64
교육과정 수기 | 정규 수업 및 방과후학교 |
교육과정 수기
사회 문제 탐구를 배우고
2학년 김산하
사회문제 탐구 과목을 2022학년도 1학기 동안 사회문제 탐구 과목을 안종민 선생님의 지도
아래서 수강한 뒤 한 학기 동안 배운 내용, 느낀 점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우선 사회문제 탐구란 과목은 말 그대로 우리 사회의 문제를 탐구하는 것이다. 사회문제 탐
구 시간은 교과서 위주의 딱딱한 수업이 아닌 우리 주변의 사회문제와 관련된 동영상을 시청
하고 우리가 그것을 요약하고 해결 방법이나 느낀 점들을 쓰는 문제해결 다이어리 위주로 수업
을 진행했다. 우리가 수업 시간 중 작성한 여러 가지 문제해결 다이어리 내용 중 인상 깊게 수업
했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장 처음 쓴 다이어리는 게임 과몰입 문제에 관한 내용이다. 사
실 컴퓨터와 핸드폰이 대중화되고 전국 어디서나 좋은 와이파이와 피시방이 있는 우리나라에
서 게임을 접하지 않은 학생을 찾아보기는 매우 힘들다. 나 또한 초등학교 시절 처음으로 게임
을 접한 후에 하루에 8시간 이상 게임을 할 정도로 게임을 열심히 했기에 게임 과몰입이라는 사
회문제가 나에게 큰 문제라고 인식되었다. 게임 과몰입의 증상은 게임에 대한 강박적 집착, 금
단 현상, 일상생활에서 여러 장애를 겪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우리가 사회적으로 금
기하는 마약의 부작용과도 같다. 물론 게임 과몰입으로 인한 부작용과 그것을 해결할 필요성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문제해결 다이어리를 쓰는 과정에서 게임 과몰입의 발
생 원인과 이를 해결할 방안을 깨달았다. 게임 과몰입의 발생 원인은 단순히 게임이 재미있고
접근하기 쉬워서가 아니다. 발생 원인에는 사회, 환경적 요인이 있다. 특히 학생들은 가정에서
의 고립과 대화 부족, 입시 위주의 교육 그리고 빈약한 여가 문화 등을 원인으로 뽑을 수 있다.
가정에서의 외로움, 학업 성적의 압박 그리고 마땅히 즐길 것이 없는 학생들은 인터넷 속으로
그리고 게임을 찾아 의존하게 된다. 나는 게임 과몰입의 이유 중 학업 스트레스의 비중이 높다
고 생각한다. 나를 포함해 주위의 여러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게임을 단순히 재미를 느끼
기 위한 용도가 아닌 현실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연
구에서도 게임 과몰입의 영향을 미치는 원인 중 학업 스트레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나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국가
발전을 위해 훌륭한 인재들을 다수 길러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현 고등학교 2학년으로서
64 2022 63號